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이 ... 이 노래가 그 ... 그 노래라니!
    길다 2013. 3. 21. 13:40
     

     

     

     

    "글리(Glee)"라는 미국 드라마가 있다.

    2009년에 첫 방송을 시작한 이래, 미국내 특히 10대 시청자들에게 선풍적 인기를 끌며 현재 4시즌이 방송되고 있는 드라마이다.

     

    고등학교 합창 동아리 이야기인 이 드라마는 국내에도 많은 팬들이 있는데,

    4시즌 에피소드 11, "Sadie Hawkins"편에는 다음 노래가 삽입되어 있다.

    일단 들어보자.

     

     

     

     

     

     

    어디서 많이 들어 본 듯 한 노랫말인데 멜로디가 많이 다르다.

     

    사실 이 노래의 오리지널은 바로 Sir Mix-A-Lot의 ...

    국내에서는 예전 "유남생" 드립으로 인기를 끌었던 "나몰라 패밀리"의 테마송으로 쓰여져 더 큰 인기를 끌었던 ...

    "Baby Got Back" 되시겠다.

     

     

     

     

     

     

    제목을 번역하자면 "엉덩이가 예쁜 여자" 쯤 되겠고 내용은 그냥 그대로 "난 궁뎅이가 대빵 큰 여자가 좋아" 정도 되시겠다.

     

    멜로디와 편곡이 전혀 달라서 같은 노래라고 생각하기 힘들지만, 원곡의 노랫말을 그대로 살렸고 제목도 그대로 같다 썼기 때문에 Glee 버전은 "커버"가 맞다.

     

    그리고 오리지널에서는 흑형들이 나와 흥겨운 랩으로 "궁뎅이"를 외쳐대서 많은 인기를 끌었지만, Glee 버전에서는 주로 얌전하게 생긴 백인들이 나와서 포크풍으로 노래를 불러 색다른 분위기를 느낄 수 있었다고 해서 화제가 되었다.

     

    그런데 문제는,

    Glee 버전이 실은 2005년도에 이미 누군가가 만들었던 멜로디와 편곡을 아무 동의없이 그대로 갖다 썼다는 것이다.

    [ 관련기사를 보시려면 여길 누르세요. ]

     

     

     

     

     

     

    그 누군가는 Jonathan Coulton이라는 컴퓨터 프로그래머 출신 뮤지션인데,

    이 친구가 2005년에 만들어서 위 그림에 나오는 앨범에 실었던 그 곡을 Glee 측에서 그냥 가져다가 쓴 것이다.

     

    그닥 인기도 없는 뮤지션의 곡을 슬쩍 가져다 쓴 Glee 측은 정작 방송 이후에 죠나단이 항의를 하자, 변호사를 통해 입장을 전달했는데 ... 그 내용을 요약하자면,

     

    "니가 만든 노래를 출연자들로 하여금 다시 부르게 한 건 아무런 법적 위배 사항이 아님 ... 그러므로 너님은 너님 버전의 노래가 인기 드라마에 나왔다는 걸로 만족하면 될 거임. 끝."

    이었다.

     

    사실 Glee의 이런 슬쩍 갖다 쓰기는 이전에도 몇 차례 있었는데,

    R. Kelly의 "I believe I can fly", DJ Earworm 편곡 버전을 그대로 썼다든가,

    Cyndi Lauper의 "Girls just want to have fun", Greg Larswell 편곡 버전을 그대로 갖다 쓴 등의 전례가 있었다.

     

    그러자 이에 뿔이 난 죠나단은 나름의 조치를 취하였는데,

    그러니까 오리지널을 커버한 자기 곡을 베낀 Glee 버전을 다시 커버한 것이다.

     

     

     

     

     

     

    결국 자신의 곡을 다시 자신이 커버한 꼴인데,

    어쨌든 그렇게 해서 그걸 싱글로 발매하여 현재 iTunes 등에서 판매 중에 있다.

    그리고 2013년 2월까지의 이 곡 판매 수익금을 Glee와 연관된 두 자선단체에 기부하기로 하였다.

     

    그리고는 둘 사이에 별다른 일이 없는 듯 한데,

     

    최근에 우리도 크라잉넛과 관련한 립싱크 건이 발생하기도 하는 등 표절, 베끼기, 슬쩍 끼워넣기, 훔치기 등 저작권과 관련한 여러 꼼수와 침해행위는 사실 세계 곳곳에서 빈번하게 행해지는게 현실이다. 그리고 그걸 가르는 경계와 기준이 모호한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고 해서 그리고 법에 정해져 있지 않다고 해서, 남의 노력의 산물을 마구 가져다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하는 건 법이나 제도 이전에 스스로 삼가야 할 것이다.

     

    그리고 노래방이 그렇듯 저작물을 사용하고 싶으면 정당한 사용료를 지불하면 될 터인데 왜 자꾸 그걸 굳이 자기 것이라고 우기고 뻗대는지 참 알다가도 모를 노릇이다.

     

     


    Nowhere Man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