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빅 데이터는 빅 브라더가 될 것인가?
    길다 2013. 4. 19. 11:11
     

     

     

     

    "Who controls the past controls the future.

    Who controls the present controls the past."

    (과거를 지배하는 이가 미래를 결정하며,

    현재를 지배하는 이가 과거를 결정한다.)

    조지 오웰(George Orwell), 1984

     

     


     

     

     

    1949년에 나온 조지 오웰의 소설 "1984".

    굳이 다른 설명을 덧붙이지 않아도 될 이 책에는 우리가 너무도 잘 아는 말이 나온다.

    그건 바로 "Big Brother".

     

    사회의 모든 활동과 개인의 일상 모든 것이 다 통제되고 지배되는 그런 사회,

    그걸 조정하는 한 사람, Big Brother 말이다.

     

    한때 요란하게 떠들어지던 이 단어가 요즘은 거의 사용되지 않긴 하지만,

    이 이미지가 요즘 화제가 되고 있는 빅 데이터와 흡사하다고 느껴지는 건 나만의 지나친 상상일까.

     

     

     

    빅 브라더는 당신을 지켜보고 있다.

     

     

     

    소설 "1984"는 1956년과 1984년에 영화화 된 적이 있다.

     

     

     

     

     

     

    소설과 영화에서는 강압과 폭력 그리고 인간성의 왜곡을 통한 통제체제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깨어있는 인간들, 사람답게 살고자 하는 인간들이 협력하고 저항하면 이러한 체제는 충분히 극복될 수 있을 거라는 희망을 가질 수 있었다.

     

    그리고 사실 역사상 존재해왔던 그리고 계속 새로 생겨나는 전체주의들은 바로 그런 희망에 기반한 노력에 의해 대부분 소멸되었다.

     

    1998년 개봉 영화, "에너미 오브 더 스테이트 (Enemy Of The State)".

    심오한 메시지를 전달코자 노력하지는 않는 오락영화이지만, 이 영화는 참으로 구체적이고 실감나게 통제의 공포를 느끼게 해 준다.

     

     

     

     

     

     

    이 영화에서 통제는 첨단 기술에 의해 이루어지며, 이를 행하는 이는 최고 권력층 내의  심각하게 비뚤어진 인사이다.

     

    인공위성과 통신기기 그리고 CCTV를 통해 가해지는 통제의 압박은 무척 공포스럽고 끔직하여서, 그 기술과 권력은 반드시 선한 권력층과 건전한 체제 하에서 관리되어졌다고 절실히 느껴진다.

     

    그리고 사실 이 영화를 보면서 마음 한 구석에는 ... "에이, 정말 저게 가능하기나 하겠어?" 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고.

     

    그런데 빅 데이터라?

     

    이건 말하자면 현존하는 모든 데이터를 파악하고 관계지워서, 현재를 분석하고 미래를 예측, 또는 더 나아가 원하는 방향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 행위의 총칭이라고 생각한다.

     

    게다가 빅 데이터는 누군가의 강압이나 외적인 요소에 의해 강제되는 게 아니라,

    내 스스로 제공한 그리고 나도 모르는 사이에 쌓여진 정보에 기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2011년에 방영을 시작한 미국 드라마 "Person of Interest"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잘 그려져 있다.

     

    이 드라마는 9. 11. 테러 이후 미국 정부가 유사한 행위를 방지하기 위해 거대한 시스템을 구축하였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스템을 운영하는 정부가 평범한 사람들에게 벌어지는 범죄는 무시하기에, 이를 못 견딘 제작자가 직접 행동에 나선다는 것이다.

     

    이 드라마에서 통제와 관리를 위해 동원하는 주요 도구는 "Digital Footprint", 즉 온라인 행적이다.

     

    온라인 흔적과 통신 내역, 공적 기록에다가 인공위성과 CCTV를 통원하여 한 개인의 행동과 그 행동의 영향을 또 다른 개인들과 연결시켜 분석하면 그 개인에게 어떤 일이 언제 벌어질 것인가를 예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처음에는 이게 가능할까 긴가민가 하면서 그냥 시청하곤 했는데,

    빅 데이터라는 개념과 묶어 보니 ... 어?! 이거 가능할 수 있겠다 싶어진다.

     

     

     

     

    일상의 시시콜콜한 대부분을 SNS에 기록하고, 포탈과 온라인 커뮤니티를 통해 정보 취득과 의견 피력을 수시로 하며, 인터넷 쇼핑 등으로 대부분의 생활용품을 구매하고 거의 모든 결제를 신용카드로 하는 나는 점점 더 깊고 상세히 데이터의 형태로 규정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런 상황에서 누군가 마음만 먹으면, 특정 개인이 예전에 어떤 단체나 동아리에서 활동하며 어떤 의견을 내고 누구와 어울렸는지 파악할 수 있을 것이며, 어느 계절에 주로 어떤 물건을 사고 전화통화는 어느 시간에 누구와 하는지, 여가는 어떻게 즐기는지, 정치적 성향은 어떤지, 뭘 잘 먹는지, 잠은 언제 자는지 등등 ... 모든 걸 순식간에 분석해 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의외로 사람은 단순해서 이전에 형성했던 패턴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으니,

    Digital Footprint에 의해 어딘가에는 기록된 나의 과거를 보고 현재를 모니터링하여 나의 미래를 높은 신뢰도로 예측 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제는 온라인 흔적을 찾아 지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다. 그러니 어느 순간에 힘을 가진 누군가에 의해 빅 데이터가 빅 브라더로 변하는 것을 우려하는 것이 그리 지나친 걱정이 아닐지도 모른다.

     

    물론 그런 일이 일어나기 매우 힘들게 사회적 안전장치를 만들면 될 것이다. 그런데 그게 그리 쉬운 일이 아닐테고, 주어진 정보를 가지고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안다면 이를 탐내지 않을 권력자가 그리 흔하겠는가.

     

     

     

     

     

     

    이번 보스턴 폭발(또는 테러)의 경우를 보아도,

    <보스턴 사고의 사상자와 가족들에게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전합니다.>

     

    언젠가 멀지 않은 미래에,

    우리는 나도 모르게 빅 브라더의 존재에 진심으로 감사하게 될 것인지,

    아니면 빅 브라더에게서 벗어나기 위해 강렬히 저항하게 될지 곰곰 생각해보게 된다.   

     

     

     


    Nowhere Man ®

     

     

     

     

     

     

     

     

     

     

     

     

     

     

     

     

     

     

     

     

     

     

     

     

     

     

     

     

     

     

     

     

     

Designed by Tistory.